오늘도 방구석에서
[github] 이클립스, 스프링과 github 연동 본문
[ 이것은 깃헙 올릴때마다 헷갈리고 애먹는 나를 위한 포스팅입니다. ]
코딩만큼 어려운게 깃헙인거 같다.
깃헙 연동하다 데이터 날려먹을 뻔한게 한두번이 아닌지라..
(왜 연동하는데 데이터 날려먹는지는 물어보지 마세요 나도 모르니까 ㅜ_ㅠ)
먼저 깃헙에서 (새로운 혹은 기존의) repository 의 주소를 복사해온다.
빨간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주소가 복사된다.
스프링 혹은 이클립스 메뉴바에서 window - show view - other... 누르고
검색창에서 Git 검색해 Git Repositories 더블클릭 후
연두색 화살표가 있는 걸 클릭!
아까 복사한 깃헙 주소를 붙여넣으면 자동으로 다른 항목들이 채워진다
맨 아래 Authentication에는 깃헙 아이디와 비번을 적으면 된다
ㄹ
기본인 master 선택
local 저장소는 깃헙 레포지토리 이름과 맞게 생성하는게 헷갈리지 않을듯
로컬 레포지토리가 생성된걸 확인 후
깃헙에 올리고자 하는 프로젝트 이름에서 우클릭 - Team - Share Project
올리고자 하는 로컬 저장소와 프로젝트 이름이 맞는 지 확인 후 Finish 버튼 누르면
깃헙과 내 프로젝트가 연결된걸 혹인
Add to Index를 눌러
프로젝트에 있는 파일들이 깃헙에 올릴 대상으로 지정하고
그 다음 commit 버튼을 누른다
stage changes 에 내가 선택한 프로젝트 파일들이 잘 올라와 있는지 확인
(내 생각에 unstaged changes는 이번에 올리는 프로젝트와 같은 깃헙과 연결은 돼 있는데
add to Index를 안 한 파일들 같다. 옆에 ++ 를 누르면 unstaged도 staged로 들어가니
올리지 않을거면 ++ 버튼은 안 누르는 걸로)
옆에 메세지 란에 적고 싶은 내용을 적고 커밋 앤 푸쉬 버튼 누르기!!
잘 올라갔는지 확인 후 close 버튼 누르고 깃헙에 잘 올라갔는지 확인하면 끝!!
(reject 당하면 귀찮아진다..
차니가 reject 당하는건 뭐라 했는데.. 암튼 풀, 푸쉬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)
'공부를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hub] markdown 문법 (0) | 2018.10.11 |
---|---|
[github] 저장소 생성하기 (0) | 2018.10.10 |